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ava
- 코딩테스트
- TCP/IP
- process
- Spring
- Queue
- 동시성문제
- 십진수 이진수 전환
- CPU
- 2차원 배열 출력
- stack
- reflection
- 프로그래머스
- 문자열 내마음대로 정렬하기
- http
- URL
- DICTIONARY
- deque
- green thread
- 문자열
- annotation
- CPU bound
- springMVC
- frontPattern
-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
- port
- Split
- 가장 가까운 단어
- IO bound
- dns
- Today
- Total
목록HTTP (4)
아무나개발하자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지금은 HTTP 시대!) 1.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2. HTML, TEXT 3. MAGE, 음성, 영상, 파일 4. JSON, XML (API) 기반 프로토콜 - TCP : HTTP/1.1, HTTP/2 - UDP : HTTP/3.0 HTTP 특징 (중요) 1.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2. 무상태 프로토콜 (stateless), 비연결성 3. HTTP 메시지 4. 단순함 (확장이 가능) 1.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Request, Response 구조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

웹 브라우저의 요청 흐름과 응답 흐름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어 보겠다. 웹 브라우저에서 위의 URL을 입력했을때 어떻게 될까용~~~???? 이제부터 엄청나게 자세하게 설명해주겠다. 1. DNS를 통해 www.google.com에 해당하는 목적지 즉 서버의 IP 주소를 찾는다. 200.200.200.2를 찾았다고 가정하자! (DNS내부적으로 리버스 프록시 서버의 IP를 줘서 로드밸런싱을 하는 경우는 일단은 생략하겠다.) 2. 서버의 포트를 찾는다 -> HTTPS는 443(Listen 포트)를 사용해서 생략도 가능하다. (HTTP : 80, HTTPS: 443) 3.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서 HTTP 요청 메시지를 만든다. - 요청 메시지는 이런식으로 생겼다.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HTTP 메세지..

HTTP의 기본 용어에 대해 알고가자 1. 인터넷 통신 2. IP 3. TCP/ UDP 4. PORT 5. DNS 1. 인터넷 통신망 복잡한 인터넷 망은 노드(컴퓨터)를 통해 통신을 한다. -> 컴퓨터를 통해 어떻게 통신할 수 있을까??? -> 답 : IP를 통해 할 수 있다 - 답을 저렇게 해놓으면 많은 이견이 달릴 수도 있을것 같다. 나도 안다 자세하게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2. IP 간단하게만 얘기해서 송신지 IP와 목적지 IP를 통해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IP 패킷은 이러한 형식으로 생겼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패킷에 송신지 IP와 수신지 IP가 모두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IP 프로토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 IP 프로토..

목차 : 인터넷 통신, IP, TCP, UDP, PORT, DNS에 대해 알아 보겠다. 인터넷 통신은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해 통신한다. 아래 그림은 IP(100.100.100.1)을 가진 컴퓨터와 IP(200.200.200.2)를 가진 컴퓨터가 서로 통신을 하려고 할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IP의 역할은 지정한 IP주소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를 전달할때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전달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패킷을 전달할 때의 그림인데, 패킷에는 송신지 IP주소와 수신지 IP주소,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여러 노드(컴퓨터)를 통해 서버로 패킷을 전달하는것을 볼 수 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패킷을 전달할 때의 그림이다, 똑같..